팔란티어 알렉스 카프(Alex Karp), 앤드류 로스-소킨(Andrew Ross-Sorkin)과의 대담
- 비즈니스에서의 신념 구조
"이 사회에서 위대한 기관들—대학, 자본주의 구조, 최고의 기업, 최고의 예술가, 그리고 가장 흥미로운 사람들—이들은 거의 항상 매우 강한 신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최선의 선택처럼 보이지 않았던 결정들이 결국 우리가 내린 최고의 결정이 되었습니다. 순수한 가치 판단에 가까운 결정일수록 결과적으로 더 가치 있게 나타났습니다."
-실리콘밸리에 대해
"우리는 최악의 시장 위치에서 시작했습니다. 고객들은 우리를 원하지 않았고, 데이터의 가치를 믿는 사람도 없었으며, 정부와 협력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온갖 방법을 동원해 버텨야 했습니다."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이유
"나는 그것을 일종의 사랑의 행위로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정말로 이 나라를 아끼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두 번이나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이 오늘날 훌륭한 국방 기술 스타트업들이 등장할 수 있는 문을 열었습니다. 혁신이 장벽을 허물었습니다."
-기술 기업과 국가 방위에 대해
"이 나라의 모든 기술 기업들은 미군에게 기술을 제공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세계에서 최초로 대규모로 통합을 실행한 기관이 바로 미군이었습니다... 반드시 지원해야 하는 단 한 곳이 있다면 바로 이곳입니다."
-실력주의(Meritocracy)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
"우리는 책임을 현장으로 밀어주는 것, 자격 있는 사람에게 책임을 부여하는 것, 급진적인 실력주의, 개방성, 정직성, 극도로 낮은 부패 수준 등을 핵심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 AI와 미국의 경제적 위치
"사람들은 여전히 AI가 미국과 동맹국 간의 상대적 GDP에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지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향후 5년 내에 유럽 국가 중 미국 GDP의 절반이라도 달성할 나라가 있을까요?"
- AI와 불평등 문제
"미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더 많은 사람들이 GDP 성장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나를 걱정하게 만드는 것은 '승자가 더 많이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우리는 다른 모든 나라보다 훨씬 잘하고 있지만, 정작 평균적인 미국인이 그 혜택을 보지 못하는 상황은 원하지 않습니다."
- AI가 가치 창출 방식을 바꾸는 방식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독창적이지 않은 모든 것을 평준화합니다. 따라서 핵심 가치는 문화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독특한 것에 달려 있습니다. 특이한 개별적 재능은 50배 더 가치가 커질 것입니다."
-난독증을 초능력으로 보는 이유
"만약 당신이 난독증이 있다면... 단어와 개념을 비난독증자가 가지는 방식대로 1:1로 대응시키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는 기존의 모든 개념적 틀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기존 플레이북은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 가치 창출의 핵심
"개인의 독창성, 국가의 독립성, 고유한 방식... 자유로운 사고를 하는 것이 10배 더 가치 있습니다. 표준화에서 벗어난 것에 모든 가치가 집중됩니다."
'Daily Com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마이크론실적 코멘트 (0) | 2025.03.21 |
---|---|
4Q24 빅 서프라이즈, 한화오션 지분매입 공시[신한] (1) | 2025.03.14 |
엔비디아, 비올, 실리콘투 실적 증권사 코멘트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