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가 상승 배경
리더스코스메틱의 2015년 주가 상승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격한 실적 개선: 201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518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75억원으로 1060.8% 증가했습니다.
마스크팩의 폭발적 인기: '리더스 마스크팩'의 급작스러운 인기로 인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의 높은 점유율: 중국 마스크팩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았습니다.
공격적인 설
비 확장: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공장 증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화장품 업계 전반의 성장: 2015년 화장품 상장기업의 총 매출액이 14조원을 넘어서는 등 업계 전반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리더스코스메틱의 주가는 2015년 5월 20일에 117,200원이라는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주가 하락 원인
중국 로컬기업들의 마스크팩 시장 진출
따이공 규제로 인한 매출 감소 우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이후 연도에는 실적이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리더스코스메틱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실적과 시가총액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2014년:
매출액: 1,200억원 (전년 대비 63% 증가)
영업이익: 221억원 (전년 대비 942% 증가)
순이익: 155억원 (흑자전환)
2015년 2분기:
매출액: 1728억원 (전년 동기 대비 79.4% 증가)
영업이익: 344억원 (전년 동기 대비 81.3% 증가)
순이익: 151억원
사업 구조 변화
2011년 리더스코스메틱스와 합병 후 화장품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화장품 부문 매출은 다음과 같이 급증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2017년부터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영업이익은 2015년에 정점을 찍은 후 급격히 감소하여 2017년부터는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순이익 추이
연도 순이익(억원)
2014 155억원
2015 151억원
2016 49억원
2017 -79억원
2018 -137억원
순이익도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7년부터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시가총액 변화
정확한 연도별 시가총액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지만,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2015년 약 5,384억원 (최고점은 2조 2천억 수준까지 상승)
2016년: 약 3,947억원
2017년: 약 3,238억원
2018년: 약 4,485억원


2016년에서 2017년 사이에 시가총액이 감소했다가 2018년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리더스코스메틱의 실적은 2015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2017년부터는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및 해외 업체 간 경쟁 심화에 따른 수출 및 내수 부문 사업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멀티베거사례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해운업 구조조정 그리고 HMM (0) | 2024.09.28 |
---|---|
삼화콘덴서 (MLCC수요증가) (0) | 2024.08.08 |